티스토리 뷰

청년들에게 결혼을 해라, 아기를 낳아야 한다 말은 많이 하지만 정작 높은 결혼식 비용이라는

첫 관문부터 장벽이 높아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게다가 예식장 예약은 치열하기까지 한데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해 주고자 서울시가 공공예식장을 무료 또는 저렴한 대관료로 지원하고, 

전체 결혼식 비용에 대한 표준 가격 안을 내놓은 나만의 결혼식이라는 지원 사업이 있어 

신청 방법과 함께 소개합니다. 

 

나만의 결혼식 신청 방법
나만의 결혼식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을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 나만의 결혼식 신청 방법

공공예식장 23개소는 야외, 실내, 전통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강공원물빛무대, 북서울꿈의숲 등 아름다운 장소뿐 아니라 

서울시청 시민청, 광나루 장미원 등 예식장 대관을 무료로 해주는 곳 도 있어 

원하는 장소와 시간, 날짜에 결혼식을 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신청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시 나만의 결혼식 신청 바로가기
서울시 나만의 결혼식 신청 바로가기

 

 

신청 자격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 또는 생활권자인 예비 부부 
  • 나만의 결혼식의 준수사항을 잘 이행하는 분

사실상 서울 시민이고, 결혼식 예식장 대관을 원한다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제출 서류 (준비 서류)

신청시 제출 서류는 제공하는 신청서를 채우고,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재직(재학) 증명서와 함께 제출하시면 됩니다. 

 

 

나만의 결혼식 신청 후의 과정

장소와 일정을 알아보고 나만의 결혼식을 신청하셨다면 그 이후 과정도 궁금하실 텐데요,

결혼식 이전 예식장을 확정 짓기 전까지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가족센터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족센터 블로그
서울시가족센터 블로그

 

  1. 장소 및 일정 확인 
  2. 상담사와 사전 전화 상담 후 예식공간별 정해진 담당 결혼협력업체와 연계
  3. 결혼협력업체와 상세한 상담을 거쳐 (스드메 등) 예식 계약 체결
  4. 계약 확정 후 서울시가 신청자에게 확정 문자를 발송 

 

 

 

결혼식을 위한 예식장 대관이 저렴하거나 무료인 것이지, 신부의 드레스와 메이크업 등과 같은 

결혼식에 필요한 비용이 모두 무료는 아닙니다. 다만 서울시가 선정한 결혼협력업체들이 있고

특정 장소와 연결이 되는 결혼 협력업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또한 선정에 중요 요소이므로 

모두 정리해 보았으니 꼭 결혼협력업체도 마음에 드시는지 확인해 보세요.

 

결혼협력업체 알아보기
결혼협력업체 알아보기

 

서울시 공공예식장 표준가격 안

예식장을 대관하더라도 기획과 진행,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한 음향 장비, 

하객들을 위한 의자와 테이블, 식사를 위한 비용들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하지만 결혼식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목적이기에 서울시에서

실속형, 기본형, 고급형 3가지의 표준 가격 안을 내놓았으니 확인해 보시고 마음에 드는 항목을 선택하세요.

 

서울시 공공예식장 표준가격안 알아보기
서울시 공공예식장 표준가격안 알아보기

 

참고로 실속형 기준 959만 원이라고 나와있어서 왜 이렇게 비싸?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 분들에게

제가 아는 중요한 사실을 말씀드리면, 100인 기준 5만 원의 음식 비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일반 예식장을 대관해도 보통 5~7만 원 정도의 식대 비용을 하객 인원당 내셔야 하고,

이런 비용들은 사실상 축의금으로 해소하실 수 있는 비용이라 계산을 제외하고 하는 편입니다. 

즉 식대를 제외하면 459만 원으로 아주 저렴한 가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결혼을 하려는 예비부부에게

저 또한 이 글을 쓰는 지금 시점이 결혼을 앞두고 있는 예비 신랑인데요, 

결혼이라는 큰 결심을 하기 위해 이렇게까지 알아보고 있는 노력을 하셨다면

앞으로 어떤 일이든 함께 이겨낼 수 있는 건강한 부부 관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잘 알아보시고 오래오래 행복한 결혼 생활을 누리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